건강한 생활

감기에 대한 새로운 예방과 대책

나 도철 2012. 12. 1. 21:46

 

감기에 대한 새로운 원인규명과 예방대책

- 감기 유발요인 새로운;발견 -감기가 어떤 경우에

걸리는 지에 대해서모두 상식적으로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무슨 의문은 없을까?
여기에 우리의 상식과는 좀 벗어난
감기 유발요인에 대한 새로운 학설이 있다.

감기는 약 먹어도 일주일, 안 먹어도 일주일

이라는 말이 있다.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몸의 저항력(면역기능)이 발동해

자연치유가 된다는 말이겠다.
그러나 감기를 유발하는 새로운 견해에 대한 상식도 알아두면
만병의 근원이라고도 하는 감기를 보다 철저히 예방하여
더욱 건강하게 보낼 수 있는 방책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적인 인식에 의하면 감기는
기후의 변화, 한기(寒氣)의 침입, 과로, 인체의 저항력 저하,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침입
등이 원인이 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의학 전문가들은 임상에서 관찰을 통해
감기가 걸리는 5가지의 새로운 경로를 발견해 내었다.
이는 감기를 예방하기 위한 신선한 내용이 아닐 수 없다.

체내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힘이 약해져서

감기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짠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타액(唾液) 분비를 감소시켜

구강 점막이 붓거나 충혈이 생기며,

이로 인해 바이러스 증식을 부채질하여
상기도(上氣道) 감염을 일으키다가 마침내 감기에 들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당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해도 체내 수분과 영양물질을

소모시켜 입안이건조해지면서

면역력을 저하시켜 더 진전하면 감기를 유발하게 된다 한다.
이렇게 음식으로 인한 감기유발 예방을 위해
전문가들은 육식과 채식을 조화롭게 섭취하며,
튀긴 음식, 절인 음식은 적게 섭취할 것을 권한다.

2. 접촉에 의해 유발되는 감기

연구에 의하면 사람의 손을 통한 접촉

아주 쉽게 감기를 전염시킨다고 한다

.영국에서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 20명을 감기 환자와 같은 방에 3

동안 같이 생활 시키면서

감기 환자가 코를 풀거나 코를 후비게 되면

바이러스가 손에 묻게 되며,
이 손을 통해서 다시 접촉하는 곳

(손수건, 수건, 문의 손잡이, 전화기,탁자, 의자 등)으로

옮겨가게 되는 것이다.
건강한 사람이 이 바이러스에 오염된 감기 환자의 손이나 물건에

접촉을 하고 나서 자신의 눈이나 코에 손을 대게 되면

감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감기를 예방하는 제일 유효한 방법은
감기 환자와 악수하지 않는 것
이며,

손을 자주 깨끗이 씻고,
손수건을 자주 갈아주며,

코를 만지거나 눈을 비비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3. 근심으로 인해 유발되는 감기

정서와 면역기능은 '쌍둥이 형제' 관계이다.
항상 근심에 잠겨있는 사람은 면역기능이 떨어지고,

임상에서 관찰한 바에 의하면,
활동량이 비교적 적은 사람은 활동량이 정상적인 사람에 비해
감기에 걸릴 기회가 2~3배나 높다
고 한다.

아이들은 이전에 온종일 TV 앞에 둘러앉아 있었다고 하는데

약리실험과 임상연구에 의하면
많은 종류 약물, 특히 항생제, 설파마인 종류의 약,

항결핵약, 구충약, 항암약,

그리고 해열진통제에 이르기까지